[비뇨기과]비뇨기학 기초
1. Stone (돌)
2. Tumor (종양)
3. Infection (감염)
요관/방광은 어떤 세포로 구성?
Transitional cell(요로상피세포) : 모양이 길어졌다/짧아졌다를 자유롭게 할 수 있음. 수시로 모양변화가능.
따라서 방광은 소변이 없을 때, 있을 때 수축/이완하고 요관은 연동운동을 할 수 있음.
Cancer ┌ 선천적 : gene ┌ oncogene
│ └ tumor suppressor gene
└ 후천적 : 환경
방광암 ≫
: 단위면적당 발생비율이 높음↑
Why? 방광에 노폐물이 모여있음 →암발생 환경적 요인↑
예) 미나마타병 - 수은중독 - 물고기에 수은 축적된 것과 유사함
요관암/방광암
어떤 증상? 무증상多→초기발견 어려움
Gross hematuria(육안적 혈뇨) - 정기검진에서 잠혈정도로 발견됨
어떤 검사?
Hx. : 특별한 것 없음. 무증상이 많음. 통증
P/E : CVA tenderness(+)
Lab.: Cr증가↑(but 올라가는 경우 많지는 않음), 잠혈 외 특별한 것 없음
image: CT urography ~dynamic CT (조영재 주입전 - 5min후 - 30min후)
암=혈관구성이 많음↑→ 좀더 하얗게 조영됨
편평한 암?
위암~위내시경 → Bx.(조직검사)
방광암~방광내시경 → Bx.
case) 담배 많이 피는 남자환자. microhematuria. 방광내시경 상 암 같이 보임.
치료방법 & 예후?
방광암 > 요관암 (예후Bad-여러가지 유전적 요인들)
└(비교적 크고, 접근가능성 좋음↑→ 초기발견확률 높음↑, 예후Good)
방광암
┌ 점막형 70% : 예후Good→그래서 방광을 다 떼지 않음.
Tx. 방광 전체 떼는게 아님. 내시경 시술로 국소적으로 뗀다 but 재발이 잦음
(원래 생긴 장소가 아니라 다른 곳에서 암발생)┘
└ 근육침범형 30% : 혈류를 타고 온몸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음. 생존율60~70%/5yr (요즘은 예후 좋아짐)
Tx. 방광을 완전히 드러냄. 인공방광을 넣는다(장을 변형해서 만듦)